안보현안
최신안보이슈
우크라이나 사태로 보는 러시아 하이브리드 전쟁과 시사점
2022.02.21 Views 913 관리자
우크라이나 사태로 보는 러시아 하이브리드 전쟁과 시사점
|
‘하이브리드 전쟁의 최강국’으로 꼽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협 또한 선전포고, 국가 대 국가의 대립, 최신식 무기를 동반한 지상군 교전 등으로 표현되는 기존 전쟁의 문법을 바꿔놓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. 과연 하이브리드 전쟁은 무엇이고 한반도에서는 어떤 형태로 일어날 수 있으며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에 대해 제시해 보는 것 또한 시의적절한 것으로 판단함. |
□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 위협의 특징
○ 우크라이나 국경지대에 19만여 명의 병력을 배치한 러시아는 직접적인 교전을 하지 않은 채 우크라이나 정부 기관에 대한 잇따른 사이버 공격, 가짜 뉴스, 음모론 유포 등으로 일관
○ 실제 우크라이나 영토를 침공한 것 이상의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며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(NATO·나토) 가입 및 나토 동진(東進) 금지 등 자신들의 요구 사항 관철을 시도
※ 러시아는 소련 붕괴 이후, 걸프전, 이라크전, 아프가니스탄전 등에서 최첨단 무기를 속속 시험하는 미국에 맞서기 위해 하이브리드 공격 전략에 천착
|
2014년 |
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병합 러시아군 2000여 명이 부대, 계급, 명찰 등 국적불명의 군복 착용 후 크림반도 침공 우크라이나 대선 러시아채널1 방송 “극우 정당 후보가 대선에서 앞서고 있다” 가짜뉴스 보도 |
|
2016년 |
영국의 유럽연합(EU) 탈퇴 국민투표 러시아어 트위터 계정 수십만 개가 투표 전날 무슬림에 대한 혐오 유발하는 사진게제 미국 대선 프란치스코 교황의 도널드 트럼프지지 선언등 가짜뉴스 확산 |
|
2017년 |
프랑스 대선 러시아 스푸트니크·RT 등 “마크롱은 동성애자, 해외에 비밀계좌 보유” 가짜뉴스 보도 독일 연방하원 총선거 ‘러시아 소녀가 시리아 난민에게 성폭행 후 살해됐다’ ‘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동독 비밀경찰 출신’ 등 가짜뉴스 확산 |
|
2021년 5월 |
미 송유관 중단 사태 미 최대 송유관 운영사 ‘콜로니얼 파이프라인’이 러시아 해커 집단 ‘다크사이드’의 사이버공격을 받고 운영중단, 뉴욕 등 미 17개주 비상사태 선언 |
|
2022년 2월 |
우크라이나 전쟁위기 우크라이나 정부 기관 및 금융사에 대한 잇따른 사이버 공격 ‘정부군이 돈바스에서 친러파 집단학살’ 같은 가짜뉴스 유포 |
○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정규전, 비정규전, 테러전, 심리전 등이 동시다발 및 종합적으로 나타나는 전쟁 상황으로 하나의 위협 인식이면서 발전시키고자 하는 전쟁 개념
○ 하이브리드 전쟁은 시간과 공간 물리적 측면과 정보부문, 국가와 비국가 행위자, 전투원과 민간인 등 전쟁의 수단과 행위자 모든 차원에서의 상호 교차적 융합이 이루어지는 양상
※ 하이브리드 전쟁은 복합전(Compound War, 북한 배합전)과 구분됨. 복합전은 군사적 취약점에 대해 정규전과 비정규전을 단순 혼합하여 전개하는 것을 의미
| 구 분 | 하이브리드전 | 배합전 |
| 전략목표 | 유 사 | |
| 취약점 공략 | 국가적 취약점 | 군사적 취약점 |
| 적의 형태 | 복합적이고 실체 모호 | 뚜렷함 |
| 전투 경계 | 모호 | 경계 뚜렷 |
| 전개 방법 | 예측 불허의 비대칭 접근 | 순차적, 중첩적 시나리오 |
| 공 간 | 동일한 전투 공간 | 여러 개의 전투 공간 |
| 효과 지속성 | 장기적인 총체적인 효과 | 전투별 군사효과 |
○ 북한은 제한된 능력 안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집단으로서 하이브리드 전을 응용할 가능성이 충분
○ 하이브리드 전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자원의 효율적 결합, 민군 협조, 군의 유연성 측면 등에서 대비가 필요
○ 한국군은 북한은 물론 다양한 위협세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역할이 더욱 증대되어야 함. 안보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직·간접적인 지원이 요구
※ 하이브리드전은 미국의 안보 및 군 관련 분야에서 하나의 전쟁양상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상황으로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.
<참고 : 전쟁 세대의 구분>
| 구분 | 1세대 | 2세대 | 3세대 | 4세대 |
| 전투 행위자 | 국가 | 국가 | 국가 | 국가 및 비전투행위자 |
| 특징 | 병력 집중 | 병력, 화력 집중 | 기동전 | 저강도 분쟁 |
| 대표적 전쟁 | 나폴레옹 전쟁 | 1차 세계대전 | 2차 세계대전 | 분란전, 테러 |

